■ UNIVERSITY STUDY |대학공부/재배학-문제

【재배학-이론. 02】작물의 정의와 이론

작가 산해 2018. 7. 9. 09:37




작물의 정의와 이론


  • 재배란 :
    - 인간이 경지를 이용, 작물을 기르고 수확을 올리는 경제적 행위(=경종)

  • 작물이란 :
    - 이용성 + 경제성아서 사람의 재배대상이 되는 식물
    - 작물은 처음에는 야생상태에서 자생하였으나, 사람이 만들어 주는 특수한 환경에 순화되고, 사람이 필요로 하는 부분만이 발달되어 원래 형태와 상당히 달라짐

  • 목적 :
    - (되도록) 많은 수량의 생산물을 내어 소득을 올리는 것.
    - 일정한 토지면적에서 작물의 수량이 극대화되면서 유전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택하고,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주며,
      알맞은 재배기술을 적용해야함
      즉, 작물의 수량은 유전성, 환경조건, 재배기술을 3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면적으로 표시

  • 량 삼각형

    • - 유전성이 우수하고, 최적의 환경조건, 알맞은
      재배기술
      최소율의 법칙이 작용함

      - 작물의 수량은 광합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작물의 재배기술은 곧 광합성을 증대시키고 동화산물을
      인간이 원하는 부위로 최대한 많이 저장 하게 하는 것 
      재배기술을 개선하는 일은 곧 작물의 광합성효율을
      증대 시키는 것을 의미




재배와 작물의 특징

  • 생산
    - 재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유기생명체를 다루며 토지를 생산수단으로 이용
    - 자연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음
    - 생산조절이 자유롭지 하며, 분업으로 생산하기 어려움
    - 자본의 회전이 느리고, 노동의 수요가 연중 균일하지 못함
    - 토지를 불량한 경우
      전면 개량하기 어렵고, 설사 개량한다고 하더라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됨.
    -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


  • 통면
    - 수확한 농산물은 변질되기 쉽고,
      가격변동이 심하며,
      가격에 비하여 용적이 이 많아 수송비도 많이 .
    - 생산이 규모이고 분산적이며, 중간상인의 역할이 큶.


  • 소비
    - 농산물은 공산물에 비하여 수요의 탄력성이 적고,
      공급의 탄력성도 작음.


    작물의 특징

- 작물은 일반식물에 비하여 이용성 + 경제성아야 한다.
- 작물의 이용부위는 사료작물처럼 식물 전체인 경우도 있지만, 
  식용작물은 재배의 목적 부위가 종실, 잎, 과실 등 식물 특정부위에 해당 됨.
- 작물의 경제성을 높이려면 특정 수확부위의 수량이 높아야 함 (일종 기형식물임)
- 환경적응성 관련 유전자의 소실로 야생식물보다 생존경쟁에서 .
- 야생식물보다 생존경쟁력이 하므로 자연상태로 방치하면 소멸되기 쉬우며,
  충분한 수확을 올리려면 불량환경에 대처하고 야생 동/식물이나 미생물의
  침해를 방지하는 조치가 필요함.




<본 이론은 삼고재배학/컨셉재배학/종자기사문제집 등 자료를 인용 정리한 자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