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RICULTURE|농업

【농약 NO.07】살충제

작가 산해 2018. 7. 6. 12:03



살충제 

    • 영어 insecticide, 

    • 일본어 : さっちゅうざい

    • 한자 : 殺蟲劑(죽일 , 벌레 , 약지을 )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곤충, 응애, 선충류) 방제에 사용하는 약제


  • 소화중독제(식독제)
      - 해충이 약제를 먹으면 중독을 일으켜 죽이는 약제
     - 저작구형(씹어먹는 입)을 가진 나비류 유충, 딱정벌레류, 메뚜기류에 적당함
     - 대부분 유기인계 살충제

  • 접촉제
    - 해충제를 피부에 접촉 흡수, 부착시켜 방제 하는 약제
    - 직접 접촉 독제 : 직접 접촉시 약효 발생
    - 제충국제, 니코틴제, 디리스제, 송지합제 기계유 

  • 침투성 살충제 
    - 잎, 줄기 또는 뿌리등 식물의 일부분에 처리하면 전체에 퍼져 즙액을 빨아먹는 흡증성 해충에 효과적인 약제
    - 척적에 대한 피해가 없음
    - 수간주사(솔잎혹파리, 솔껍질깍지벌레), 엽면살포(진딧물류), 근부처리(응애류, 솔잎혹파리)

  • 훈증제
    - 유효성분을 가스상태로 해서 해충을 방제하는 데 쓰이는 약제
    - 토양에 중비하여 선충방제용으로 이용
    -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

  • 훈연제
    - 약제를 연기 상태로 만들어 해충을 방제하는 약제
    - 아세타미프리드 훈연제

  • 유인제
    - 해충을 독성이 있는 먹이 등에 유인하여 제거거 및 포살하는 약제

  • 기피제
    - 농작물에 해충이 모여 들지 않게 사용되는 약제

  • 불임제
    - 해충의 생식시관 발육저해 등 생식능력이 없도록 하는 약제

  • 점착제
    - 나무의 줄기나 가지에 발라 해충의 월동 전후 이동을 막기 위한 약제

  • 생물농약
    - 살아있는 미생물, 천연에서 유래된 추출물 등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약제 


관련 글 보기


【농약 NO.06】"살균제(殺菌劑)"

【농약 NO.05】농약의 분류

【농약 No.04】농약의구비조건

【농약 No.03】농약 사용의 장·단점

【농약 No.2】농약이란

【농약 No.1】"농약관리법" 농약의 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