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론 문제] 농촌지도의 개념 파트 모의문제
1. 기능으로서의 농촌지도로 옳지 않은 것은?
2. 농촌지도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1778년 헝가리의 자바에서 최초의 농업학교를 설립되었다. (O, X)
4. 농촌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주요관련 학문분야는 교육학 이다 . ② 주민접근전략면에서 농촌지도는 농장 및 가정방문 같은 개인적 접촉을 한다 ③ 전문인력으로는 지도사 , 지도요원 등이 있다 . ④ 대상범위는 농촌 , 농민 , 농업 등이다 . |
5. 반덴반과 호킨스의 농촌지도의 정의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농촌지도자가 현재와 미래의 상태를 분석하도록 도와주는 과정
② 지식 증대와 문제에 대한 통찰력 개발로 기존의 지식 구조화
③ 특정 문제해결과 관련된 상세한 지식과 정보 획득으로 가능한 대안 발견
④ 농업인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기술 향상과 평가
6. 농촌사회교육과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농촌사회교육에서 전문인력을 보는 시각은 학습도우미 ,촉진자 ,교사등 이다 .
② 지역사회개발 대상의 범위는 농촌 , 농업 , 농민이다 .
③ 농촌사회교육에서 주민접근전략은 개인 ,집단 , 대중접촉의 혼합 등 이다 .
④ 지역사회개발의 주요관련학문분야는 교육학 , 사회학 , 경제학 등 이다 .
7. 반대반과 호킨스의 농촌지도사업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문: 농업인의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것
② 교육: 농업인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르치는 것
③ 조력: 목적과 가능성을 명확히 하고 이를 실현하도록 하는 것
④ 자극: 반 강제적으로 농업, 농촌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촉진시키는 것
8. 시버스의 CES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농촌지도에서의 연구와 지도조직은 동등한 파트너이다.
② 농촌지도 프로그램은 유연하면서도 가치 있다.
③ 농촌지도의 현장은 주로 농업, 가정경제, 관련 영역이다.
④ 지도대상은 단일적이고 동질적이다.
9. 농촌지도, 농촌사회교육 및 지역사회개발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농촌지도는 농업기수, 생활과학을 다루는 학문이고, 농촌사회교육은 사회교육학을 다루는 학문이다.
② 농촌사회교육은 개인이나 대중접촉의 혼합하고 지역사회개발은 조직접근을을 한다.
③ 지역사회개발은 농촌, 농업, 농민을 대상위 범위로 하고 농촌사회교육은 도시까지 확장한다.
④ 지역사회개발은 지역사회개발 요원을 두며 농촌지도는 지도사나 지도요원을 둔다.
10. 농업 지식 혁신체계 4대 구성요소를 국가졀 사례로 제시한 것중 맞지 않는것은?
① 연구:핀란드 과학기술 및 혁신전략센터(SCSTI), 프랑스 응용 농업연구네트워크(NARA)
② 지도:덴마크 농업자문기구(DAAS)
③ 지원시스템:유럽연합의 농업회의소 플랫폼(PCA)
④ 지역사회개발:프랑스 중등농업교육학교(AKIS)
11. 농촌지도, 농촌사회교육의 차이점으로 옳은 것은?
① 농촌지도의 주요관련 학문 분야는 사회교육학이고 농촌사회교육은 농업기술,생산과학이다.
② 농촌지도의 주민접근전략은 개인,집단,대중 접촉의 혼합이고 농촌사회교육은 농장 및 가정방문이다.
③ 농촌지도와 농촌사회교육의 교육대상은 같다.
④ 농촌지도의 전문인력은 학습도우미,촉진자,교사 이며 농촌사회교육은 지도사,지도요원이다.
12. 반덴반과 호킨스의 농촌지도사업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이전 : 연구자가 농업인에게 농업기술과 지식을 전달,보급하는 것
② 자문 : 농업인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르치는 것
③ 생산 : 식량과 섬유를 공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
④ 교육 : 농업인의 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 가르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