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RICULTURE|농업

수도작의 병해충 '이삭도열병' 간단히 알기

작가 산해 2021. 8. 14. 19:08

서론

이삭도열병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먼저 '도열병'이 무슨 병인지 먼저 알아야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즉, 뜻풀이가 먼저라는 것이다.

(벼 도)

(더울 열, 태우다)

 

한자적으로 풀이를 하면

'벼가 탄다'

라는 의미로 해서 할 수 있다.

마치 불에 덴 것처럼 갈색 반점이 생겨 퍼져나가는 현상을 '도열병'이다.

어느 부위에 생기느냐에 따라

이삭도열병, 목도열병, 모도열병 등 부를 수 있다.

도열병은

벼 외에도

화본과 작물인 보리 밀, 옥수수 등에도 발생한다.

 

본론

이삭도열병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삭이 패기 전 발생?! VS 이삭이 패기 시기 발생?!

정답은

이삭이 패는 시기에 자주 발생하는 병이다.

이 시기에 병원균이 침입하여 병이 발생하면

치료가 어려워 피해가 커지므로 사전 방제가 중요하다.

이삭도열병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

+

이삭이 패는 시기 비가 자주 올 경우

병 발생률이 높아지니

출수 전

이삭이 2~3개 팰 때

방제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고온에서 병 발생?! VS 저온에서 병 발생?!

정답은

저온일 때 발생 확률이 높다.

정확히 말하면,

이삭이 패고, 여물 동안 20~25℃의 저온 상태에서

3일 이상의 연속적으로 비가 내려 습도가 높아지면 발생하기 쉽다.

 

대게는

이삭이 패고 20여 일 까지 가장 취약한 기간이지만,

기상에 따라 이후라도 발생하기도 한다.

 

참고사항

이삭도열병에 약한 품종

중생종 :

화성, 청아

중만생종 :

추청, 일품, 일미, 신동진, 호평, 청담, 진백

 

감염 시 나타나는 증상

이삭 목이 도열병균의 침입을 받으면

처음에는 회백색을 띠다가

이삭 목 중심으로 점차 검게 변하면서

양분과 수분 공급이 되지 않아 말라버려 쭉정이가 발생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