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산해 2017. 9. 16. 18:52



잡초의 정의

  • 제자리에 발생하지 않는 식물.
  • 인간이 원하지 않거나 바라지 않는 식물.
  • 인간과 경합적이거나 인간의 활동을 방해하는 식물.
  • 작물적 가치가 평가되지 않는 식물.
  • 경지나 생활지 주변에서 자생하는 초본성 식물.


잡초의 일반적인 특성

  • 다산성이다.- 종자의 생산량이 多.
  • 휴면성이 있다.- 발아의 조건, 시기, 종자의 수명에 따라 발아 정도가 다르다.
  • 종자생산의 환경적응성이 크다. - 종자생산기간의 변이가 크다.
  • 종자 전파력과 경합성이 크다.
  • 불량환경에서 생존력이 크다.
  • 탈립성이 크다.
  • 영양체 번식력과 재생력이 크다.


잡초로 인한 피해


농경지의 피해.

  • 경합해- 수량과 품질의 저하 (작물과 축산물)
  • Allelopathy (상호대립억제작용, 타감작용)
    -식물의 생체 및 고사체의 추출물이 다른 식물의 발아와 생육에 영향.
  • 기생
    - 실모양의 흡기조직으로 기주식물의 줄기나 뿌리에 침입.
  • 병충해의 매개
    - 병균과 해충의 중간기주 및 전파가 용이
  • 농작업 환경의 악화
    -농작물의 관리와 수확이 불편하고 경지의 이용효율 감소
  • 사료의 잡초해
    - 고사리(알칼로이드 중독)
  • 침입 및 부착해
    - 작업방해, 잡초전파.
물관리상의 잡초해
  • 급수 방해
  • 관수 및 배수의 방해
  • 유속감소와 지하 침투로 물손실의 증가
  • 수온의 저하 및 용존산소 농도의 감소.

도로나 시설지역의 잡초해
  • 산업시설이나 군사 시설 등

조경관리상의 잡초해
  • 운동장, 잔디밭등.


잡초의 유용성

  • 지면을 덮어 토양 침식 방지(피복작물로서 역할)
  • 통양에 유기물 제공.
  • 곤충의 먹이와 서식처 제공.
  • 구황식물로 이용.
  • 무공해 채소(ex> 달래, 냉이 쑥)
  • 공해제거 능력 (ex> 부레옥잠, 물옥잠 등) 
  • 약료, 염료, 향료, 향신료 등의 원료 (반하, 쪽, 꼭두서니등)
  • 관상용
  • 가축의 사료 이용



반응형